2020. 9. 23. 17:29ㆍ카테고리 없음
대화형 유튜브 정의: 유튜버가 본인의 지식을 전달해주거나 이야기를 개그로 풀어 진행되는 컨텐츠
1. 구독자 28만 명 '리섭TV' - 정치

리뷰
사춘기가 끝나는 시기부터 20대 중반까지 프리미엄이 붙는다.
누구라도 이 시기에 이쁘다는 소리를 듣고 버프를 받는 시기이다.
이 시기 때문에 자기 객관화가 안된다.
인생 최대 업적이 의사 만날 썰, 변호사 만난 썰이다.
분석
이야기의 주제들이 다소 자극적이고 썸네일이나 제목은 내용에 비해 더 자극적인 부분이 많다.
하지만 '리섭TV'의 스토리텔링을 들어보면 굉장히 몰입감을 느끼고 빠져들게 된다.
유튜브의 특성상 5초이내에 뒤로가기를 많이 누르게 되는데 앞 부분에 내용보다 다소 자극적인 소재를 넣음으로써 시청자들이 영상을 오래보도록 한다.
유튜브의 알고리즘인 조회수와 시청시간을 정확히 인지한 '리섭TV'는 본인이 3개월동안 생각을 해서 유튜브를 운영하게 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제시
주제를 자극적이게 하는 것이 꺼려진다면 최소한 궁금하게는 만들어야 한다.
제목을 매우 짧게 혹은 정직하게 작성할 수 있는 유튜버는 이미 성장해서 어떻게 제목을 짓더라도 사람들이 몰리는 경우 밖에 없다. 혹은 취미로 유튜브를 운영하는 경우.
썸네일과 제목도 중요하지만 내용이 부실하거나 리딩에 몰입감이 생기지 않으면 채널은 성장할 수 없다.
2. 구독자 38만 명 '흑자헬스' - 헬스

리뷰
약쟁이(스테로이드 사용자를 비하하는 용어)들을 비판, 비난하는 내용
약쟁이들은 내추럴들을 같잖게 보고 있다.
내추럴 대회에 나와서 입상을 한 약쟁이들이 다수 존재한다.
분석
'흑자헬스'의 경우 헬스갤러리(헬스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많은 글들을 써오면서 단련된 혹은 타고난 글솜씨를 가지고 있다.
유튜브에서도 단기간에 많은 구독자, 조회수를 확보하는데 성공하였는데 이는 그가 글 뿐아니라 뛰어난 말솜씨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유머러스하지만 비판적인 내용이 있는 블랙코미디를 다루다가 최근에는 사회적 이슈인 불법 약물에 대해 다뤘었다.
'흑자헬스'의 개그 포인트는 말은 웃기게 하고 있으나 표정은 미동도 하지 않는데서 오는 괴리감에서도 존재한다.
제시
한 분야의 전문가(흑자헬스의 경우 헬스장 관장)라서 가능한 유머 코드가 존재한다. 그런 것을 이용한다면 본인만의 이야기를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위 둘의 공통점은 욕을 먹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야 본인의 솔직한 의견을 담을 수 있다.
3. 구독자 34만 명 'Super K-슈퍼개미김정환' - 주식

리뷰
폭락한 나스닥에 대해 쫄지 말라는 내용
국내주식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우리나라가 더욱 고평가 되어야 한다고 함.
주식 투자를 하기 위해서 기업에 전화를 하고 직접 찾아가서 정보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함.
그 외에도 투자 일지, 벨류에이션, 포트폴리오, 저점 매수, 급등 매도 등의 원칙을 가지고 있다.
분석
초 단기간에 구독자가 30만 명대를 돌파한 케이스
유튜브를 개설하기 전 대형 재태크 유튜브에 다수 출연해 입지를 다져놓은 것이 큼
현재는 방송국에서도 수 많은 섭외 요청이 오고 있지만 거절하고 있는 상태
이야기를 할 때 매우 차분하고 진정성이 있어 많은 팬들을 보유하고 있음.(일부는 개미들의 형이라며 '개형'이라 부름)
가끔씩 소액으로 주식을 하는 친동생과의 솔직담백한 영상들을 통해 친근함과 유머적인 이미지도 있음.
제시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을 친절하고 정확하게 이야기 해주면서 가족, 지인과의 대화를 통해 인간적이고 친근한 모습도 보여주면 신뢰가 생긴다.
하루에 2~3개까지의 영상을 올릴 수 있는 이야기 형태의 장점을 잘 살리면 좋다.(물론 전문적인 지식이나 사회 전반에 걸친 지식이 있어야 가능하다.)
이야기형 유튜브 제작 Tip
1.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많이 알아야 한다. 꼭 전문적인 내용을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평소에 책을 많이 읽거나 신문, 뉴스 등을 보는 것도 좋다.
2. 이야기형 유튜브의 최대 강점은 영상을 찍기가 매우 수훨하다는 것이다. 다른 컨텐츠에 비해 영상 편집도 간단한 편이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영상을 올려 추천 영상에 뜨게 해 다른 영상들의 조회수도 올리는 방법이 좋다. 당연히 퀄리티가 중요하지만 이야기형 유튜브의 경우 퀄리티는 말의 내용에서 정해지게 된다.
3. 전문적인 내용이 아니어도 좋다.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 다른 사람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독특성과 창의성을 가지고 있다면 차별화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문적인 유튜버의 경우 장점도 크지만 해당 내용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하게 되는(구독자들이 원하거나 관성에 의해)경우가 있다. 하지만 전문적이지 않을 경우 어떠한 주제도 다룰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댓글 추가 Tip
이미지 출처: 유튜브